본문 바로가기
JPA

[JPA] Entity의 LifeCycle

by 코리늬 2020. 3. 3.

백기선님의 Spring Data JPA 강좌를 참고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Entity의 상태

Entity의 상태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 Transient
  • Persistent
  • Detached
  • Removed

각각의 상태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

  • Transient : JPA가 모르는 상태 (단순 객체 생성)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account.setUsername("seokhun");
    account.setTitle("JPA");
  • Persistent : JPA가 관리중인 상태 (1차 캐시, Dirty Checking, Write Behind)

    Session session = entityManager.unwrap(Session.class);
    session.save(account);

    save를 하는 시점부터는 JPA가 account 객체를 인지하고 관리를 하기 시작한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save가 됐다고 해서 바로 insert문이 날라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저장 할 시점이 되어야 insert문이 날라간다.

Persistent 상태에서는 1차 캐시, Dirty Checking, Write Behind 등등을 지원해준다.

 

1차 캐시

위의 코드에서 save를 한 후에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

  Account n1tjrgns = session.load(Account.class, account.getId());
  System.out.println(n1tjrgns.getUserName());

 

해당 코드에 대한 select 쿼리는 발생하지 않고, 객체에 저장되어있는 userName값을 나타내준다.

그리고 나서 insert 쿼리는 Transaction이 끝난 후 1번만 발생한다.

영속성 컨텍스트는 내부에 캐시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1차 캐시`라고하며, 영속 상태의 엔티티는 모두 이곳에 저장된다.

그래서 1차 캐시에서 먼저 엔티티를 찾고 없으면 그 때 DB에서 조회를 한다.

hibernate가 관리하는 객체의 장점. 크으...

 

Dirty Checking, Write Behind

  Session session = entityManager.unwrap(Session.class);
  session.save(account);

  Account n1tjrgns = session.load(Account.class, account.getId());
  n1tjrgns.setUsername("n1tjrgns");
  System.out.println(n1tjrgns.getUserName());

위 코드는 어떻게 동작할까?

신기하게도 insert와 update 쿼리가 발생하게된다.

업데이트는 하라고 하지 않았는데?

 

이게 바로 Dirty Checking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보관할 때, 최초 상태를 복사해서 저장하는데 이것을 스냅샷 이라고 한다.

그리고 flush 시점에 스냅샷과 엔티티를 비교해 객체의 변경사항을 감지해서 변경된 상태가 변경 되었으니 update를 해야 함을 스스로 알고 쿼리를 발생 시킨다. (똑똑해)

만약에, update 할 필드가 많거나 저장되는 내용이 너무 크면 수정된 데이터만 사용해 동적 Update Sql을 사용해야한다. (= DynamicUpdate)

 

Write Behind

객체의 상태 변화를 DB에 최대한 늦게 최적화 된 시점에 저장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account.setUsername("seokhun");

Session session = entityManager.unwrap(Session.class);
session.save(account);

Account n1tjrgns = session.load(Account.class, account.getId());
n1tjrgns.setUsername("n1tjrgns1");
n1tjrgns.setUsername("n1tjrgns2");
n1tjrgns.setUsername("n1tjrgns3");
n1tjrgns.setUsername("seokhun");
System.out.println(n1tjrgns.getUserName());

맨 처음에 넣었던 seokhun과 맨 마지막에 저장 될 userName이 결국 seokhun으로 같은 것을 확인 하고 결국 update를 할 필요가 없음을 알고 update를 실행시키지 않는다.

트랜잭션이 커밋되기 직전까지 DB에 엔티티를 저장하지 않고 내부 쿼리 저장소에 INSERT SQL을 모아둔다.

그 후 트랜잭션이 끝나는 시점(= transaction commit())이 되면 영속성 컨텍스트들을 flush() 해준다. 이 때 실제 DB에 insert 쿼리가 날라가는 것이다.

 

Persistent 상태에 있는 객체들의 성능적인 면에서의 장점이다..!

  • Detached : JPA가 더이상 관리하지 않는 상태

    쉽게 말해 Transaction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 JPA가 더 이상 관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 Removed : JPA가 관리하긴 하지만 삭제하기로 한 상태

    delete() 메소드 처럼 이제 삭제하기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flush() 방법

  1. em.flush() 호출

  2. 트랜잭션 commit 시 자동 호출

  3. JPQL 쿼리 실행 시 자동 호출

     

나머지 세세한 부분들은 따로 정리를 해야겠다.

JPA 너무 재미있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