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2

[Linux] 로그 모니터링을 통한 장애시 문자 알림 보내기 중복이 발생해서 중복으로 처리되어버린 장애가 발생했다.. 그래서 대응 방안으로 모니터링을 구현해 빠른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로 했다. 작업 수행하게 되면, 로그를 남기는데 중복으로 수행됐다면 로그도 중복으로 남는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구현을 하게 되었다. 리눅스는 대학교 방학 때 명령어를 따라서 몇 번 따라서 쳐본 것이 전부였다.. OMG.. 그런데 쉘 스크립트를 작성하라니.. 우선 해야 할 목록을 적어보았다. 해당 로그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카운트 한다. 카운트가 있으면 중복이 발생, 없으면 정상 해당 로그파일의 중복된 행에서 key 값을 가져온다. key 값으로 빠른 조회 및 대처를 위해서 모니터링 창을 하루종일 켜두고 지켜볼 수 없으니, 중복이 발생하면 문자 메세지를 전송해준다. 1, 2.. 2019. 8. 2.
[Linux] 리눅스에 톰캣 설치 & 서비스 등록 회사에서는 보통 파일을 직접 다운받아서 파일을 넣은 후 바로 원하는 경로에 압축을 푸는 경우가 많다. tomcat tar.gz를 다운받아 ftp를 사용해 파일을 전송한다. 압축 풀기 tar zxvf apache-tomcat-7.0.88.tar.gz -C /usr/share/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C 로 지정된 경로에 압축을 풀어라 tar [OPTION...] [FILE]... -f :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 (기본 옵션) -c : tar 아카이브 생성.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 (파일 묶을 때 사용) -x :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 (파일 풀 때 사용) -v : 처리되는 과정(파일 정보)을 자세하게 나열. -z : gzip 압축 적용 옵션. -j : bzip2 압축 적용 옵션. -.. 2019.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