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하게 말해서 기존에는 LifeCycle이 왜 중요한지 체감을 못했다. 단순히 중요하다니까 보는정도?
하지만, JPA를 공부하다보니 Entity의 LifeCycle이 엄청 중요했다.
그래서 LifeCycle에 대한 공부를 하려한다.
Spring Bean의 생명주기
-
Spring Application 시작
-
Bean 설정파일 초기화
Config 파일이나 web.xml을 사용해 Bean으로 등록할 대상을 찾아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여 Bean에 등록한다.
-
Bean으로 등록할 객체 초기화
//@Component를 사용 할 경우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Init"); } //@Bean을 사용 할 경우 @Bean(initMethod = "init") public BeanA beanA() { return new BeanA(); }
- Bean의 의존관계를 확인해 (@Autowired, @Resource) 다른 @Bean을 주입해주고, Bean 설정파일에 있는 init 메소드를 호출한다.
-
Bean 준비상태
모든 Bean의 초기화가 끝나고 사용 가능한 상태
-
Bean 소멸 상태
// @Component를 사용할 경우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System.out.println("destroy"); } //@Bean을 사용할 경우 @Bean(destroyMethod = "destroy") public BeanA beanA() { return new BeanA(); }
- 스프링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 Bean 설정파일의 destroy 메소드가 호출된다.
의존 관계에 따른 생명주기 변화
의존관계가 없는 경우
- BeanA
public class BeanA {
public BeanA() {
System.out.println("BeanA : 생성자");
}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BeanA : init");
}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BeanA : destroy");
}
}
- BeanB
public class BeanB {
public BeanB() {
System.out.println("BeanB : 생성자");
}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BeanB : init");
}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BeanB : destroy");
}
}
- WebConfig
@Configuration // web.xml과 같은 역할
public class WebConfig extends WebMvcConfigurerAdapter {
@Bean(name = "beanA", 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destroy")
public BeanA getBeanA() {
return new BeanA();
}
@Bean(name = "beanB", 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destroy")
public BeanB getBeanB() {
return new BeanB();
}
}
- ComponentA
@Component
public class ComponentA {
public ComponentA() {
System.out.println("ComponentA : 생성자");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ComponentA : 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ComponentA : destroy");
}
}
- ComponentB
@Component
public class ComponentB {
public ComponentB() {
System.out.println("ComponentB : 생성자");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ComponentB : 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ComponentB : destroy");
}
}
- @Di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iController {
public DiController() {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생성자");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init");
}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hello world";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destroy");
}
}
실행결과
- 프로젝트 종료시 객체들이
초기화 된 순서의 역순
으로 destroy() 된다.
의존관계가 있는 경우
- Controller에 의존성 주입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iController {
private final BeanA beanA;
private final BeanB beanB;
private final ComponentA componentA;
private final ComponentB componentB;
public DiController(){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생성자");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init");
}
@Reques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hello world";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DiController : destroy");
}
}
실행결과
-
스프링 부트에서는 파일 이름 순서대로 Bean을 초기화한다.
다만, 의존성이 주입되어 의존성이 끼어들게되면 먼저 선언된 의존성부터 생성자가 초기화된다.
번외
Bean의 LiceCycle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Bean들을 등록해놓고 @Autowired로 주입받아서 사용하다가는
아직 등록되지 않은 Bean을 사용한다는 에러를 만날 수 있다.
그 이유는
Spring에서는 주로 xml을 사용해 bean을 등록하는데, 자동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bean을 스캔해 생성해준다.
bean 생성 순서가 바뀌는 상황이라면?
- Spring이 알아서 순서를 바꿔 참조되는 Bean을 먼저 생성해주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스프링부트에서 bean을 등록하면 신기하게도, 패키지 디렉토리 순서(알파벳)대로 스캔하
면서 bean을 생성한다.
해결 방법은?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 사용
- Bean이 완전히 주입된 후 작동하기 때문에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
참고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Transactional - 1 전파 레벨(propagation) (0) | 2020.07.06 |
---|---|
[Spring] 스프링 AOP with (프록시 패턴) (0) | 2020.06.30 |
@Bean vs @Component (0) | 2020.04.08 |
[Spring] Constructor Injection 방식을 권장하는 이유 (0) | 2019.12.25 |
REST, RestController, ResponseEntity, AJAX (0) | 2019.04.11 |
댓글